공유기 2.4Ghz 설정 확인으로 해결한 실제 사례
✨ 3줄 요약
- 컴퓨터에서 와이파이가 잡히지 않는 문제의 원인은 공유기 설정 때문이었다.
- 5.0Ghz만 활성화된 상태에서 2.4Ghz 설정이 빠져 있어, 2.4Ghz만 지원하는 와이파이 USB가 연결되지 않았다.
- 해결 방법은 공유기 설정(브라우저 접속)에서 2.4Ghz 채널을 활성화하는 것이었다.
📌 목차
- 문제 상황 소개
- 공유기와 와이파이 주파수 구조
- 기존 사용 환경과 신호 문제
- 해결 과정 (오르비 재설정)
- 원인 파악과 최종 해결
- 결론 및 팁
1. 문제 상황 소개
안녕하세요? 운터입니다.😄
오늘은 컴퓨터에서 와이파이가 안 잡혔던 문제를 해결했던 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이번에 저희 부모님께서 이사를 하셨는데, 인테리어를 하면서 티비 홈을 파놓는 바람에, 게다가 98인치는 고정형 티비 설치대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현재 상황에 맞춰서 인터넷을 거실이 아닌 작은 방에 설치했습니다.
그래서 컴퓨터에 꽂을 와이파이 USB를 하나 ㅋㅍ에서 주문하고 셋팅을 하려는데, 아무리 시도해도 컴퓨터에서만 와이파이가 안 뜨는 거에요.
그 원인은 바로 공유기 설정에 있었습니다.
2. 공유기와 와이파이 주파수 구조
요즘 공유기의 와이파이 설정을 해보면, 속도가 빠른 5.0Ghz와 안정적인 2.5Ghz로 설정이 되는데요.
공유기 셋팅 후에 자동으로 위와 같이 2개가 구분되어 나뉘는 제품도 있고, 그렇지 않은 제품도 있다는 것을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3. 기존 사용 환경과 신호 문제
보통 30평대 거실에 공유기를 셋팅하면 집안에서 사용하는데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간혹 신호가 잘 안 터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사 전 부모님 댁에는 오르비(Orbi) 제품과 그 신호를 증폭해주는 세틀라이트를 셋팅해드렸는데요. 이번에 이사한 새집에서 오르비앱을 통해 다시 세틀라이트(증폭기)를 연결하려니 신호를 못 잡더라구요.
4. 해결 과정 (오르비 재설정)
한참을 헤매다가 오르비앱이 아닌, 직접 접속(브라우저에서 192.168.1.1)에서 재설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구관이 명관이여~)
그리고 제가 구입한 오르비 제품은 자동으로 5.0Ghz로만 세팅되고, 2.5Ghz는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 있더라구요.
5. 원인 파악과 최종 해결
그래서 2.5Ghz를 자동이 아닌 다른 채널을 선택해주고 저장했더니, 이제 컴퓨터에서 와이파이가 검색이 되더군요.
결국 원인은 데스크탑 컴퓨터용 와이파이 USB가 2.4Ghz만 지원을 했었고, 오르비 공유기 설정에서 2.4Ghz 설정이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에 와이파이가 안 잡혔었던 거에요.
물론 와이파이 USB를 5.0Ghz를 지원하는 제품을 구입해도 되나, 2.4Ghz만 지원하는 제품이 더 저렴합니다.😅
(ㅋㅍ에서 8000원대였음)
6. 결론 및 팁
그래서 결론은 어떻게 되나?
여러분도 뭔가 공유기 앱에서 안되면 직접 브라우저로 접속해서 해보세요.
그리고 공유기의 5.0Ghz와 2.4Ghz가 설정이 잘 되어있는지 공유기 설정에서 확인해보세요.
그럼 오늘의 유용한 정보는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 '와이파이 증폭 공유기 오르비'
최저가 비교는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유용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름때는 식초, 곰팡이는 휴지로! 집안일 줄이는 7가지 초간단 꿀팁 (1) | 2025.09.09 |
---|---|
‘이것’ 매일 먹었더니 나도 모르게 살 빠져…효과 얼마나 크길래? (3) | 2025.08.30 |
빵에 잼 대신 ‘이것’을 찍어 먹었더니…혈당·콜레스테롤 수치 확 꺾였다! 🥖 (8) | 2025.08.27 |
넷플릭스 요금제 2025, 광고형이랑 4K까지 한눈에 보기 #넷플릭스요금제 [블로그 이전 완료] (7) | 2025.07.30 |
“비누로 빡빡? 피부가 싫어해요!” 건강한 샤워의 반전 진실 #샤워습관 #비누샤워 [블로그 이전 완료] (3) | 2025.07.24 |